마곡사[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]



“마곡사 사적입안(事蹟立案)”의 기록에 따르면, 640년(신라 선덕여왕 9)에 자장(慈藏)이 창건하였으며, 고려 명종(明宗) 때1172년 보조국사(普照國師)가 중수하고, 범일(梵日)이 재건하였으며, 다시 도선국사(道詵國師)가 중수하고, 순각(淳覺)이 보수하였다. 조선시대에도 세조가 이 절에 들려 ‘영산전(靈山殿)’이라고 사액(賜額)을 한 일이 있다. 창건 당시에는 30여 칸의 대사찰이었는데, 현재는 대웅보전(보물)·대광보전(大光寶殿:보물)·영산전(보물)·사천왕문·해탈문(解脫門) 등이 있을 뿐이다. 이 밖에 사보(寺寶)로는 5층 석탑(보물)·범종(梵鐘:지방유형문화재), 괘불(掛佛) 1폭, 목패(木牌), 세조가 타던 연(輦), 청동 향로(지방유형문화재)가 있고, 《감지금니묘볍연화경(紺紙金泥妙法蓮華經)》 제6권(보물) 및 《감지은니묘법연화경》 제1권(보물)이 있다. 금물이나 은물로 베껴 쓴 필사 불경들이 지금도 여러 점 전하고 있는데, 이것은 고려후기 불교문화의 대표적 유산이기도 하다. 이 절과 관련해서 한가지 흥미로운 것은 이 일대가 조선조 십승지지, 즉 전란기에 위험을 피할 수 있는 특별한 지역중의 하나로 널리 알려졌다는 것이다. 이중환의 [택리지]에서도 마곡사는 임진왜란의 전란을 피하였으며, 한국전쟁 때도 병화를 입지 않았던 것으로 전한다.
* 마곡사의 역사 *
마곡사의 이름은 신라 보철화상이 설법 전도할 때 모인 신도가 삼밭의 삼대 같다고 하여 마곡사라 지은 것이라 한다. 절에서 내려오는 얘기로는 신라 선덕여왕 12년(642년)에 자장 율사가 창건하여 고려 보조국사가 재건하였다 하나, 그 처음 연원이 확인되지 않고 있고 전하는 연대에 문제가 있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선덕여왕 12년은 백제 멸망이전 백제 의자왕 2년에 해당한다. 만일 642년 창건이 사실이라면, 의자왕 2년으로 전해져야 하는데 적대관계의 신라 연대로 전해지고 있는 것이다.
[문화재 정보]
마곡사5층석탑(보물)
마곡사영산전(보물)
마곡사대웅보전(보물)
대광보전(보물)
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1(보물)
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6(보물)
천왕문(문화재자료)
응진전(문화재자료)
명부전(문화재자료)
동제은입향로(문화재자료)
해탈문(문화재자료)
동종(문화재자료)
심검당 및 고방(문화재자료)
국사당(문화재자료)
세조대왕가마(문화재자료)
괘불(문화재자료)

마곡사[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] 대표사진

마곡사[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]

마곡사[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] 정보

📌주소 :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




🌍홈페이지 : http://www.magoksa.or.kr

공주 문화관광https://www.gongju.go.kr/tour/index.do


📞문의처: 마곡사 041-841-6220
템플스테이 041-841-6226


🔔개장일: 정보 없음


❌휴무일: 연중무휴


🔊체험안내 : 정보 없음


😀체험가능 연령 : 정보 없음


👨‍👩‍👦‍👦수용가능 인원 : 정보 없음


🌞이용 가능 계절 : 정보 없음


🕗이용 가능 시간 : 정보 없음


🚘주차 가능 여부 : 가능


💳신용카드 가능 여부 : 불가


👶유모차 대여 여부 : 불가


🐶반려동물 출입 여부 : 불가


✅화장실 : 있음


마곡사[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] 지도 확인하기

마곡사[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] 다양한 사진들

마곡사

마곡사

마곡사천왕문

공주_마곡사_솔바람길1

공주_마곡사_솔바람길14